1 각종 그룹 설정
1.1 사운드 카드 출력 권한
1.2 각종 디스크 접근 권한
1.3 Video4Linux
1.4 log파일 읽기 권한 부여
1.5 /usr/src 아래 소스파일에 접근 권한 부여
1.6 /usr/local 아래작업 권한과 /home 아래 디렉토리 만드는 권한 부여
1.7 serial port 접근 권한
1.8 공유 설정 권한
2 로케일
2.1 로케일 설정
2.2 한글 로케일로 설정
2.2.1 /etc/skel/ 에 만들기
2.2.2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에 만들기
2.3 fat32 한국어 codepage로 mount
3 X.org
3.1 Windows Manager 바꾸기
4 service daemon 추가 제거
4.1 제거
4.2 추가
5 kernel
6 mount
6.1 autofs 사용시 root 이외의 사용자가 mount 되는 파티션에 접근하기
7 Package 관리
7.1 패키지 목록 갱신하기
7.2 패키지 설치하기
7.3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하기
7.4 시스템 업그레이드
7.5 패키지 삭제하기
7.6 패키지 설정 삭제하기
7.7 특정 패키지의 자세한 정보 출력하기
7.8 설치된 패키지 전체 목록 보기
7.9 설치된 패키지 해당 파일 목록 보기
7.10 특정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보여주기
7.11 패키지 소스 받기
7.12 패키지 소스 받아 컴파일 설치하기
7.13 패키지 의존성 보기
7.14 패키지 역 의존성 보기
7.15 패키지 빌드 의존성 충족시키기
7.16 고아 패키지 찾기
7.17 이름으로 패키지 찾기
7.18 설명으로 패키지 찾기
8 GNOME
8.1 gnome-volume-manager 사용
1.1 사운드 카드 출력 권한
1.2 각종 디스크 접근 권한
1.3 Video4Linux
1.4 log파일 읽기 권한 부여
1.5 /usr/src 아래 소스파일에 접근 권한 부여
1.6 /usr/local 아래작업 권한과 /home 아래 디렉토리 만드는 권한 부여
1.7 serial port 접근 권한
1.8 공유 설정 권한
2 로케일
2.1 로케일 설정
2.2 한글 로케일로 설정
2.2.1 /etc/skel/ 에 만들기
2.2.2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에 만들기
2.3 fat32 한국어 codepage로 mount
3 X.org
3.1 Windows Manager 바꾸기
4 service daemon 추가 제거
4.1 제거
4.2 추가
5 kernel
6 mount
6.1 autofs 사용시 root 이외의 사용자가 mount 되는 파티션에 접근하기
7 Package 관리
7.1 패키지 목록 갱신하기
7.2 패키지 설치하기
7.3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하기
7.4 시스템 업그레이드
7.5 패키지 삭제하기
7.6 패키지 설정 삭제하기
7.7 특정 패키지의 자세한 정보 출력하기
7.8 설치된 패키지 전체 목록 보기
7.9 설치된 패키지 해당 파일 목록 보기
7.10 특정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보여주기
7.11 패키지 소스 받기
7.12 패키지 소스 받아 컴파일 설치하기
7.13 패키지 의존성 보기
7.14 패키지 역 의존성 보기
7.15 패키지 빌드 의존성 충족시키기
7.16 고아 패키지 찾기
7.17 이름으로 패키지 찾기
7.18 설명으로 패키지 찾기
8 GNOME
8.1 gnome-volume-manager 사용
1 각종 그룹 설정
1.1 사운드 카드 출력 권한
# adduser user_id audio
1.2 각종 디스크 접근 권한
# adduser user_id floppy # adduser user_id cdrom # adduser user_id disk
1.3 Video4Linux
# adduser user_id video
1.4 log파일 읽기 권한 부여
# adduser user_id adm
1.5 /usr/src 아래 소스파일에 접근 권한 부여
# adduser user_id src
1.6 /usr/local 아래작업 권한과 /home 아래 디렉토리 만드는 권한 부여
# adduser user_id staff
1.7 serial port 접근 권한
# adduser user_id dialout
1.8 공유 설정 권한
# adduser user_id sambashare
2 로케일
2.1 로케일 설정
# dpkg-reconfigure locales
2.2 한글 로케일로 설정
2.2.1 /etc/skel/ 에 만들기
# set-language-env -E
2.2.2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에 만들기
# set-language-env -R
2.3 fat32 한국어 codepage로 mount
/etc/fstab에 아래와 같이 설정.
/dev/hda1 /mnt/win vfat noauto,iocharset=cp949,defaults 0 0
3 X.org
X.org에서 hal을 지원하면서 크게 수정해야 할 부분이 없어졌다.
3.1 Windows Manager 바꾸기
# update-alternative --config x-session-manager # update-alternative --config x-window-manager
4 service daemon 추가 제거
4.1 제거
# update-rc.d -f xdm remove
4.2 추가
# update-rc.d xdm defaults 99 01
5 kernel
6 mount
6.1 autofs 사용시 root 이외의 사용자가 mount 되는 파티션에 접근하기
/etc/auto.misc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win_c -fstype=vfat,gid=disk,umask=022 :/dev/hda1
위 설정대로 하면 /dev/hda1 파티션을 /var/autofs/misc/win_c 에 mount하고 disk 그룹 사용자가 읽기,실행 권한을 가지도록 한다.
7 Package 관리
7.1 패키지 목록 갱신하기
$ apt-get update
7.2 패키지 설치하기
$ apt-get install hello
$ dpkg -i hello*.deb
7.3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하기
$ apt-get upgrade
$ apt-get dselect-upgrade
7.4 시스템 업그레이드
stable 에서 testing 이나 unstable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 apt-get dist-upgrade
7.5 패키지 삭제하기
$ apt-get remove hello
7.6 패키지 설정 삭제하기
$ apt-get remove --purge hello
7.7 특정 패키지의 자세한 정보 출력하기
$ dpkg --print-avail hello
$ dpkg -p hello
$ apt-cache show hello
7.8 설치된 패키지 전체 목록 보기
$ dpkg -l
7.9 설치된 패키지 해당 파일 목록 보기
$ apt-file list hello
$ dpkg -L hello
7.10 특정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보여주기
$ apt-file search foofile
$ dpkg --search foofile
$ dpkg -S foofile
7.11 패키지 소스 받기
$ apt-get source hello
7.12 패키지 소스 받아 컴파일 설치하기
$ apt-get -b source hello
$ apt-get source hello $ apt-get build-dep less $ cd hello-###/ $ fakeroot ./debian/rules binary
7.13 패키지 의존성 보기
$ apt-cache depends hello
7.14 패키지 역 의존성 보기
$ apt-cache rdepends hello
7.15 패키지 빌드 의존성 충족시키기
$ apt-get build-dep hello
7.16 고아 패키지 찾기
다른 패키지와 연관성이 없는 고아 패키지 검색하기.
$ deborphan
7.17 이름으로 패키지 찾기
$ apt-cache pkgnames hello
7.18 설명으로 패키지 찾기
$ apt-cache search hello
8 GNOME
8.1 gnome-volume-manager 사용
- usbmount 등이 있으면 삭제
- plugdev 그룹에 자신의 id 추가
- fstab에서 외부 장치에 대한 부분 주석 처리. 내장 하드 에 대해서 주석 처리 했더니 권한 문제가 생겼다. 해결 방법은 아직 모른다.
- gconf-editor를 사용해서 /system/storage/default_options 에 codepage와 iocharset 값을 추가. debian 에서 기본 커널을 사용할 경우 iocharset가 iso8859-1 이기 때문에 한글 문제가 발생한다. 아래는 로케일이 ko_KR.UTF-8 일 경우 설정 창이다.